개발로그
-
10/15 TIL | 자바스크립트엔 ESLint가 생명!📝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0. 17. 20:56
9주차에는 자바스크립트 학습 주간! 첫 번째 강의는 JavaScript 프로젝트를 세팅하는 법을 보여주셨는데, 따라 하면서 솔직히 반성했다. 그간 그냥 create-react-app를 쓴 덕분에 npm init을 해서 일일이 package.json을 세팅해본 경험은 손에 꼽기 때문이다. 내가 얼마나 생각 없이 자바스크립트를 쓰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다시금 느낄 수 있었고… 자바스크립트는 ESLint라는 좋은 툴이 있는데, 이는 코딩 컨벤션에 위배되는 코드나 안티 패턴을 자동 검출하는 도구다. 참고로, ESLint는 처음부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타일 가이드(built-in rule)를 제공하지만 개발자가 자신의 스타일 가이드를 작성할 수도 있다. 우리가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할 때 ESLint를 꼭 설..
-
『개발자가 반드시 정복해야 할 객체 지향과 디자인 패턴』을 읽고. 수정하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고 싶다면!📝 기록/독서 기록 2022. 10. 15. 06:01
이번 1주 1개발 서적은 『개발자가 반드시 정복해야 할 객체 지향과 디자인 패턴』 - 최범균 저. 표지와 속지 디자인을 보고 큰 기대 없었던 책이었는데, 이게 웬걸! 엄청 유익한 책이었다👍🏻 (약간 힘숨찐?!) 이 책에서 말하는 수정하기 좋은 구조를 가진 코드는 아래와 같다. - 새로운 기능 추가 시, 그와 연관된 다른 코드가 영향을 받지 않음 - 관련 코드가 한 개의 클래스로 모여 있어서 코드 분석/수정이 용이함 - 서로 다른 기능에 대한 처리 코드가 섞여 있지 않아 수정이 용이함. 즉, 요구 사항이 바뀔 때 그 변화를 좀 더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는 코드를 말한다. 이를 위해 사용된 것이 바로 객체 지향 기법이다. 다시 말해 객체 지향 기법을 적용하면 소프트웨어를 더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유연함(fl..
-
10/14 TIL | The Clean Architecture: Business Logic과 Infrastructure의 완전한 분리📝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0. 14. 16:35
오늘 금요지식회의 주제는 'Software Architecture'였다. 중요한 것은 Business Logic과 Infrastructure의 완전한 분리였다. 즉, 아래 그림의 가장 바깥 연두색으로 표시한 Web, Devices, DB 등 외부 인터페이스는 우리의 통제를 벗어난 일이고, 우리가 집중해야 하는 부분은 가장 내부 핵심 로직이다. 외부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기술이 도입된다고 하여도 우리의 핵심 로직이 변경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메인 비지니스 로직과 외부 인터페이스를 완전히 분리시켜서 관리한다면 유지 보수하기도 편해진다. 핵심적인 부분을 어떻게 잘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Domain Driven Design, Clean Architecture 등의 키워드를 남겨주셨고, 개발자..
-
10/11 TIL | 그 모든 일이 있었음에도..📝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0. 11. 22:49
저는 음성일 줄 알았습니다만...... 오늘 ㅋㄹㄴ 양성 판정받았습니다 🥲 어제저녁부터 상태가 이상함을 느껴 민간요법 잔뜩 하고 잤는데도 아침에 일어나니까 평소랑 컨디션이 다른 거 같아서 오늘은 도장에 나가지 않고 병원에 가서 전문가용 PCR 테스트를 받고 왔슴다. 역시나 결과는 확연히 보이는 선명한 두줄... ㅋㄹㄴ 시작된 지 이제 거의 3년 다 되어 가는데 그동안 한 번도 안 걸리다가 이번에 걸리게 되었다네요.. 그래도 증상은 아직까지는 심하지 않아서 컨디션 조절 잘해서 슬기로운 격리생활 보내보겠습니다. 파이탱!
-
10/10 TIL | 데메테르의 법칙(Law of Demeter)📝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0. 10. 23:56
8주차 주간 학습의 첫날! 이번 주 1주 1개발서적 프로젝트로 『개발자가 반드시 정복해야 할 객체 지향과 디자인 패턴』을 읽기 시작했다. 읽었던 파트 중에 캡슐화 파트에서 캡슐화를 위한 규칙으로 데메테르의 법칙(Law of Demeter)이 소개되었다. 사실 이 법칙을 처음 보자마자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떠올랐는데 제나님도 나랑 똑같은 생각을 했다길래 너무 웃겼다.. 어쩔 수 없는 진성 문과생들.. 데메테르의 법칙(또는 디미터의 법칙)은 "Tell, Dont' Ask"의 규칙을 따를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규칙인데, 이때 "Tell, Don't Ask"는 데이터를 물어보지 않고, 기능을 실행해 달라고 말하라는 규칙이다. 이 두 가지 규칙은 객체 지향 언어의 특징 중 하나인 캡슐화를 위해서 필요한 규..
-
TWIL #7 | 풀스택 정권찌르기 1주차.📝 기록/매주의 기록 2022. 10. 9. 23:15
📝 TWIL(This Week I Learned) 작성 가이드 1) 이번 주 한 일, 느낀 점, 배운 점을 작성한다. (3Fs, 1~2번에 해당) 2) 앞으로 개선할 점 등 어떻게 하겠다는 실천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Future Action Plan, 3번에 해당) 3) 다음 TIL을 작성할 때 FAP가 제대로 지켜졌는지 피드백을 작성한다. (4번에 해당) - 참고: 5Fs, 뒤돌아보다 이번 주 정권이 제대로 찔러졌는지 한번 확인해봅시다..🤛 1. Facts (사실, 객관) - Java 웹 서버를 활용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였다. - HTTP 통신에 대해서 공부하였다. 2. Feelings (느낌, 주관) & Findings (배운 점) 1) HTTP 통신을 이제야 좀 알 거 같다. + 열심히..
-
10/8 TIL | 밀린 과제 처리! 그리고 useSyncExternalStore(feat. FEConf 2022)📝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0. 8. 22:15
오늘은 8주차 주말 학습의 첫날!이지만..ㅎㅎ 7주차 퀘스트 과제를 마무리하지 못해 과제를 하였다.😅 밀린 과제는 바로 로그인/회원가입 기능 구현인데, HTTPServer로 웹 서버를 띄우고 입력 값들을 받아 로그인/회원가입 유효성 검사를 해서 로그인 성공/실패, 회원가입 성공/실패를 보여주면 되는 거였다. 7주차 마카오 뱅크 강의에서 크게 달라질 부분 없지만 유효성 검사가 끼어드니 역시나 또 옴짝달싹 못하고 멍 때리다가 코딩 도장 테스트 코드 짤 때처럼 쪼개서 가자는 생각에 쪼개서 작업하였다. 이렇게 쪼개서 작업을 하니 확실히 이해가 가지 않았었던 이번 주차 강의 흐름을 이제야 조금 알 거 같다. 물론 여유롭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닌지라 막히면 조금만 고민해보고 그래도 안 되면 바로 동기들의 ..
-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Basic』을 읽고. HTTP 도장 깨기!📝 기록/독서 기록 2022. 10. 7. 23:26
이번 주의 1주 1개발서적 프로젝트!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Basic』 - 우에노 센 저. 책 제목처럼 그림으로 표현된 HTTP 상세 내용들을 같이 보면서 글로만 읽을 때와는 다르게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홀맨님의 특별 쪽지시험 덕분에 핵심 개념들만 쏙쏙 뽑아 가져 갈 수 있었고, 이렇게 개념 노트로 정리해서 앞으로는 이 노트만 보면 될 수 있게끔 정리해보았다! 이 노션은 두고두고 복기하는 거로! 이 책은 HTTP 개념을 공부하기에는 좋으나 번역 퀄리티 면에서는 아쉬웠던 점이 좀 많았다. 개인적으로 목차 카테고라이징이 잘못된 부분도 있었고..(1.2.3의 "진보 안하는 HTTP"라는 표현은 보자마자 솔직히 뭔 소린가 싶었다) 그리고 일본어를 그대로 번역해오면서 사용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