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록
-
[프로그래머의 뇌] 2. 신속한 코드 분석📝 기록/독서 기록 2024. 1. 22. 22:29
💡 '신속한 코드 분석' 챕터를 읽으면서 기억할 만한 부분을 기록한 포스팅입니다. - 챕터 목표: 코드를 빨리 이해하는 것이 왜 어려운지 이해하고, 어떻게 하면 코드를 더 빨리 읽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1. 코드를 신속하게 읽기 코드를 읽을 때 우리는 그 코드에 존재하는 특정한 정보를 찾는다.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찾는 능력을 향상하면 코드를 다시 찾아보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두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아래와 같이 삽입 정렬 알고리즘을 구현한 자바 코드를 작성한다고 생각해 보자. public class InsertionSor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ay = {1,3,6,77,23,4}; int temp; for (..
-
[프로그래머의 뇌] 1. 코딩 중 겪는 혼란에 대한 이해📝 기록/독서 기록 2023. 11. 8. 13:29
💡 '코딩 중 겪는 혼란에 대한 이해' 챕터를 읽으면서 기억할 만한 부분을 기록한 포스팅입니다. - 챕터 목표: 프로그래밍을 할 때 역할을 하는 세 가지 인지 과정과 각각의 인지 과정이 자신의 혼란 유형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1. 코드가 초래하는 세 가지 종류의 혼란 생소한 코드를 접하게 되면 누구나 혼란을 느낀다. 하지만 이때 경험하는 혼란은 모두 같은 방식이 아니다. 1) 지식의 부족 2 2 2 2 2 T n 위와 같이 APL(A Programming Language) 코드가 있다고 가정할 때, 이 코드를 접하고 혼란스러운 이유는 T가 의미하는 바를 모르기 때문이다. 즉, T에 대한 지식이 없기 때문이다. 2) 정보의 부족 public class BinaryCalculator { pub..
-
TWIL #25 | 인생 첫 해커톤 도전! 오랜만에 스터디로 활기찼던 일주일.📝 기록/매주의 기록 2023. 5. 14. 22:49
📝 TWIL(This Week I Learned) 작성 가이드 1) 이번 주 한 일, 느낀 점, 배운 점을 작성한다. (3Fs, 1~2번에 해당) 2) 앞으로 개선할 점 등 어떻게 하겠다는 실천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Future Action Plan, 3번에 해당) 3) 다음 TIL을 작성할 때 FAP가 제대로 지켜졌는지 피드백을 작성한다. (4번에 해당) - 참고: 5Fs, 뒤돌아보다 1. Facts (사실, 객관) - ChatGPT Prompt Engineering for Developers 강의 수강 시작! - 글리치 해커톤 참여 신청 - 이력서 작성 끝! - 주 4회 운동 완료! 2. Feelings (느낌, 주관) & Findings (배운 점) 1) 오랜만에 스터디를 시작하다! 진짜 ..
-
5/8 TIL | 쉼표 작업 일지 #34. 배포의 축복(?)은 끝이 없네😵📝 기록/작업 기록 2023. 5. 9. 00:38
서버 배포부터 시작. fly.io를 통해서 프론트/백을 모두 배포하려고 한다. 먼저 서버를 띄우기 전에 데이터베이스를 PostgreSQL로 설정을 하고, production(=배포)은 H2 메모리가 아닌 PostgreSQL을 바라보게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설정했다. Dockerfile을 통해 배포를 진행하기 때문에 Dockerfile 생성하여 아래와 같이 입력하였다. // 1. open jdk 중에 sdk 버전을 셋업 FROM eclipse-temurin:17 // 2. 아래 경로에 프로그램을 위치시킴 WORKDIR /u/myapp // 3. [plain]이 붙은 파일을 제외하고 나머지 jar 파일을 해당 경로에 이동시킴 COPY build/libs/*[^plain].jar ...
-
[월간 회고] 2023년 4월: 번아웃을 이겨내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던 나날들. 진짜 진짜 시작!📝 기록/N간 회고 2023. 5. 8. 15:45
얼마 만에 쓰는 월간 회고인지.. 그간을 wrap up하는 회고를 작성하고 앞으로 남은 2023을 야무지게 보내고픈 마음에 컴퓨터 앞에 앉았다. 2월에 과정을 수료하고 홍콩 여행을 다녀올 때까지만 해도 해외여행을 다녀오면 충분한 휴식이 될 줄 알았으나 한국에 돌아온 뒤로도 나아지지 않는 무기력증과 우울감 때문에 3~4월을 내내 울적하게 지냈다. 작업이 안 되는 이유를 도무지 모르겠어서 줄곧 답답했었는데, 최근 월간 회고를 하면서 정리해 보니 내려지는 결론은 번아웃이 아니었을까 싶다. 사실 과정을 진행했던 6개월이 오로지 작업에만 몰두해도 힘든 시간들이었는데, 나는 나의 완벽주의 성향과 맞지 않는 작업 방식으로 인해서 끊임없이 고통받았다. 그 과정에서 내가 혹시 내 성향과 적성에 맞지 않는 직업을 선택한 ..
-
나는 이제 완벽주의자말고 완료주의자가 되기로 했다.📝 기록/생각 기록 2023. 4. 15. 15:45
어렸을 때부터 나는 완벽주의자였는데, 살아오면서 이 완벽주의 성향이 대부분 좋은 결과를 만들어냈었기 때문에 나는 이런 나의 성격이 꽤 만족스러웠다. 하지만 개발 공부를 하게 되면서 이 성향은 결코 좋지 않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완벽주의도 종류가 다양한데, 그중 나는 게으른 완벽주의자에 속한다. 여러 번 시도해서 완벽하게 만드는 타입이 아닌 한 번의 시도에 완벽한 결과가 따라오길 바라는 그런 타입의 완벽주의자로, 완벽하게 하지 못할 거면 그냥 시도조차 하지 않아 버리는 스타일이다. 그러다 보니 이 성향이 시행착오를 통해서 얻는 경험이 중요한 개발 공부에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2월에 수료하고, 3월에 여행을 다녀와서 바로 이력서 작성과 동시에 포트폴리오를 다듬었어야 했는데 바로 작업은 무슨.. 계속..
-
Connecting the dots를 믿기.📝 기록/생각 기록 2023. 3. 21. 01:01
몇 주 전, 같이 코딩도장을 수료한 동기 중 한 명인 쥬쥬가 개발자로 취직이 아닌 다른 도전을 한번 해보겠다는 말을 전해왔다. 쥬쥬랑은 바로 옆자리 짝꿍이었기도 하고, 나보다 3살이 어려 딱 3년 전 내가 했던 고민들을 하고 있길래 고민 상담을 많이 해줬는데 긴 글을 다 읽고 난 뒤 나는 무척 기분이 좋아졌다. 그 이유는 꽤 오랜 기간 동안 고민하고 후회 없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었다. 마치 독립하는 자녀를 보는 것만큼 뭉클하기도 하고 ㅋㅋㅋ 그래서 나도 똑같이 긴 글로 답장을 하다가 문득 'Connecting the dots'가 떠올랐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라는 유명한 속담도 있지 않나! 다양한 시행착오를 통해 얻는 경험들은 그 어떤 것보다도 값질 것이다. 그리고 그 점들(dots)은 내 인생에..
-
3/6 TIL | 그간의 기록: 홍콩 여행, 재충전의 시간 🪫→🔋📝 기록/매일의 기록 2023. 3. 6. 15:42
근 3주 만에 다시 쓰는 TIL(이라 썼지만 사실 짧은 홍콩 기록..)! 교육 과정을 수료하고 그간 갈망했었던 해외여행도 다녀왔고! 그리웠던 음식들도 잔뜩 먹었다. 시간이 언제 이렇게 흘렀나 야속하지만, 이렇게 행복했던 추억은 잠시 뒤로 하고 이제 다시 달릴 준비를 해야 한다. 우선 내가 해야 할 일들 중 가장 먼저 해야 할 일들은 - 쉼표 프로젝트 프론트/백 배포 - 이력서 작성하면서 - 쉼표 프로젝트 다듬기 이 정도이다. 이걸 해내기 위해서 하루 일과를 계획해 보자면 아래와 같다. 타임라인 할 일 7:00 - 7:10 - 기상 & 양치 - 유산균 섭취 7:10 - 7:40 - 공복 유산소 7:40 - 8:10 - 샤워 8:10 - 9:00 - 간단한 아침 먹기(그릭 요거트 or 건강 주스 등) - 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