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로그
-
『자바스크립트 코딩의 기술』을 읽고. 똑소리나게 자스를 쓰고 싶다면!📝 기록/독서 기록 2022. 11. 7. 03:36
1주 1개발서적 프로젝트. 2주 전에 읽었던 책이지만 한동안 급! 바빴던 바람에 서평을 도무지 올리지 못하고 있었다. 비교적 여유로운 주말에 밀린 서평들을 적어보고자 컴퓨터 앞에 앉았고 이렇게 올려본다! 이 책은 진짜 자바스크립트를 제대로 활용하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꼭 읽어야 한다 싶은 수준으로 유익한 내용이 너무 많았다. 그래도 그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을 뽑아보자면 5장. 반복문을 단순하게 만들어라, 8장. 클래스로 인터페이스를 간결하게 유지하라, 10장. 컴포넌트 아키텍처를 이용해 관련 파일을 모아라 이 세 개를 꼽을 수 있다. 우선 5장은 for, while 문이 아닌 고차함수 map, filter, find forEach, reduce를 사용하여 반복문을 단순하게 만들 수 있는 법을 코드와 함..
-
11/6 TIL | 을지로에서 열린 열정 대부흥회🕺🏻📝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1. 6. 21:07
이번 주 강의는 1시간 45분으로 엄청 빡센 메가테라에서 거의 이례적인 한 주였다!!(물론 그렇다고 공부할 게 적었다는 소리는 절대 아님) 그래도 강의가 짧으니 여유가 생기는 것이 솔찍헌 나의 심정 ㅎㅎ 제나쓰랑 친언니쓰랑 여유롭게 리프레시도 할 겸 바아로 셋이서 호텔에서 호캉스를 하기로 결심하였다!!💸 호텔 체크인 전 내가 좋아하는 밀크티 집에서 밀크티를 샀고(여기 중국에서 먹던 맛 그 잡채임🥹👍🏻) 주중에 제대로 읽지 못했던 책도 같이 가져와서 바빠서 후루룩 읽으면서 놓쳤던 개념들을 챙기면서 다시 읽는데, 근래 들어 가장 여유로웠던 하루라서 너무 좋았다 ㅠㅠ.. 저녁으로는 내 최애 음식.. 마라샹궈!!!!🤤 어제오늘 너무나도 풍요롭게 보내 행복했던 주말! 덕분에 내 열정은 그 어느 때보다도 풀충전 상..
-
TWIL #11 | 블로그 소재 찾느라 바빴던 블낳괴의 한 주!(스압주의)📝 기록/매주의 기록 2022. 11. 6. 04:02
📝 TWIL(This Week I Learned) 작성 가이드 1) 이번 주 한 일, 느낀 점, 배운 점을 작성한다. (3Fs, 1~2번에 해당) 2) 앞으로 개선할 점 등 어떻게 하겠다는 실천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Future Action Plan, 3번에 해당) 3) 다음 TIL을 작성할 때 FAP가 제대로 지켜졌는지 피드백을 작성한다. (4번에 해당) - 참고: 5Fs, 뒤돌아보다 안녕하세요... 블로겁니다... 이 짤을 보자마자 이거 완전 내 짤인데? 싶어 저장해봤다네요.. 저는 이 티스토리 말고도 네이버 블로그와 미디엄 블로그를 운영하는 스케줄이 빡빡한 블낳괴(블로그가 낳은 괴물)이기 때문이죠 껄껄.. 물론 티스토리는 개발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는 일상 블로그, 미디엄 블로그는 커뮤니티 ..
-
11/5 TIL | 순항 중인 열정 되찾기 프로젝트.📝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1. 5. 21:39
지난주 금요 지식회를 기점으로 시작된 열정 되찾기 프로젝트. 딱 1주일이 되어 뒤돌아보니 꽤 순항 중이다. 역시 사람은 마음먹기에 달렸고, 생각의 차이가 큰 변화를 불러올 수 있구나 싶었던 한 주! 주말에 나는 코딩 도장에 출석하지 않고, 집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오늘 평소보다 여유롭게 일어나 빨래도 하고, 도서관에 들려 책 반납, 치과 정기검진을 받고 스케일링도 하고 주간에 챙길 수 없었던 밀린 일들을 해치웠다. 오늘 치과 간 김에 사랑니가 조금씩 자랄 때마다 아픈 잇몸에 대해서 말했더니 사랑니 때문이 아니라 피곤해서 잇몸이 부어가지고 그런 거라고 말씀하셔서 생각해보니 매일 아팠던 게 아니라 좀 피곤하다 싶었던 날들에만 아팠던 거 같기도 하고..? 아픈 사랑니는 아니라서 지켜보다가 불편하면 그때 뽑으러 ..
-
11/4 TIL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왜 중요할까?🧐📝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1. 4. 15:39
오늘 코딩 도장 문제는 자료 구조 중 하나인 스택(Stack) 개념을 사용하여 풀 수 있었다. 스택은 한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구조의 자료구조이다. 후입 선출(Last In First Out)의 방식을 따르는데 이는 가장 마지막에 들어간 것이 가장 먼저 나온다는 의미로 프링글스 통처럼 바닥이 막힌 상자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스택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예로는 브라우저의 History, 터미널의 cd(디렉터리 변경), pwd(현재 경로 찾기) 명령어 등이 있다. 하여 오늘 코딩 도장 문제를 풀 때 자바의 Stack 컬렉션을 활용하여 문제를 풀었고, 자바스크립트의 배열 메서드로 push, pop을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스택이라는 자료구조는 워낙 잘 알려진 자료구조이다 ..
-
11/3 TIL | 난 몰랐어 코테가 이리 다채로운지!🕺🏻📝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1. 3. 20:09
어제오늘의 코딩 도장 문제 풀이! 프로그래머스의 체육복이라는 문제였고, 어제는 Java, 오늘은 JavaScript로 문제를 풀었다. 여담으로 코딩 도장 레포지토리를 지난 TIL에서 올렸던 내용을 포함해 엄청 다채롭게 꾸며나가는 중인데, 위 사진의 라벨링은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꾸준히 업로드하는 레포지토리에 나름의 정책을 만들고 어떤 식으로 하는 게 더 좋을지를 고민해보는 과정이 참 즐겁다. 이게 더 꾸준히 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인 거 같고, 코딩 도장을 수료한다고 하더라도 계속 1일 1문제를 풀어야겠다 생각했다! - Java: 자바로 푼 문제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로 푼 문제 - should try again: 다시 풀어봐야 할 문제 - solved again: 다시 한..
-
11/2 TIL | 그리디 알고리즘(Greedy Algorithm)📝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1. 2. 11:07
오늘 코딩 도장 문제 풀이를 하다가 문제에 해당하는 알고리즘이 '그리디 알고리즘(Greedy Algorithm)'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렇다면 오늘의 TIL은 그리디 알고리즘을 정리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디 알고리즘은 한국어로는 탐욕(내지는 욕심쟁이) 알고리즘이라고 하는데 이는 "매 선택에서 지금 이 순간 당장 최적인 답을 선택하여 적합한 결과(= 최적해)를 도출하자"는 모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탐욕이라는 의미를 붙인 것이라 생각된다. (한순간도 최고의 선택을 놓칠 수 없는 당신은 욕심쟁이 우후훗!!!🤗) 우선 그리디 알고리즘을 알아보기 전에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부터 알아야 한다. 동적 계획법 또한 최적화 이론 중의 한 기술로, 특정 범위까지의 ..
-
11/1 TIL | 대칭 키와 비대칭 키 암호화 방식📝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1. 1. 17:14
이번 주 강의는 로그인, 회원가입 그리고 인가를 배우는 만큼 암호화에 대해서도 공부를 하는 주간이다. 책을 읽으면서도 한 번에 이해 안 가는 부분들이 많아 각 개념들을 정리해서 소화하고, 다시 책을 읽는 방식으로 1주 1개발서적 챌린지를 진행하려고 한다. 하여 오늘은 '대칭 키와 비대칭 키 암호화 방식'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암호화는 크게 대칭키, 비대칭키, Hash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참고로 Hash는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지 않음) 💡대칭키와 비대칭키 - 대칭키: 암호화/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동일하다. - 비대칭키: 암호화/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다르다. 우선 대칭 키 암호화 방식부터 정리해보자면, 양방향 암호화 방식 중에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