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로그
-
11/29 TIL | 레벨 테스트 작업 일지 Day 2. 풀스택 개발자로 떠나는 여행🕺🏻📝 기록/작업 기록 2022. 11. 29. 22:51
🔙 이전 시리즈 11/28 TIL | 레벨 테스트 작업 일지 Day 1. 기획 및 Rest API 설계! 드디어 이제 포폴 주간 직전의 레벨 테스트 주간! 2주 동안 그간의 배운 지식들을 모두 활용해서 기프트샵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야 한다. 오늘부터 2주간 마카오 기프트샵 작업 일지로 TIL을 bohyunkang.tistory.com 오늘 작업 목표 달성률(75%) ✅ 페이지 라우팅 처리 및 reset, GlobalStyle 적용(PR) ✅ 모든 페이지에 대한 인수 테스트 코드 작성(PR) ✅ 헤더, 기본 홈 화면 마크업 및 스타일링(PR) 🟩 로그인, 회원가입을 제외한 페이지 마크업(작업 중💬) 작업 회고 오늘 작업 목표는 위와 나열한 것과 같이 총 4개였는데, 3개 달성하였다. 왜 모두 해내지 못..
-
11/28 TIL | 레벨 테스트 작업 일지 Day 1. 기획 및 Rest API 설계!📝 기록/작업 기록 2022. 11. 28. 21:31
드디어 이제 포폴 주간 직전의 레벨 테스트 주간! 2주 동안 그간의 배운 지식들을 모두 활용해서 기프트샵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야 한다. 오늘부터 2주간 마카오 기프트샵 작업 일지로 TIL을 작성하기로 마음먹었고, 오늘의 작업 목표와 달성률은 아래와 같다. 오늘 작업 목표 달성률(100%) ✅ 사용자 스토리 작성하기 ✅ 인수 테스트(전체 시나리오) 작성하기 ✅ F/E URL 설계하기 ✅ 디자인 시스템 설계하기 ✅ Rest API 설계하기 작업 회고 오늘 한 작업 중 아무래도 가장 많은 시간이 들었던 것은 REST API 설계였다. 그동안의 강의에서는 항상 제공받은 API 설계로만 작업을 해왔기 때문에 막상 이렇게 시간이 오래 걸릴 줄 몰랐는데, 실제로 내가 어떻게 API를 호출해서 마카오톡 선물하기의 ..
-
TWIL #14 | 녹록지 않은 15시간 짜리 풀스택 강의.📝 기록/매주의 기록 2022. 11. 27. 20:09
📝 TWIL(This Week I Learned) 작성 가이드 1) 이번 주 한 일, 느낀 점, 배운 점을 작성한다. (3Fs, 1~2번에 해당) 2) 앞으로 개선할 점 등 어떻게 하겠다는 실천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Future Action Plan, 3번에 해당) 3) 다음 TIL을 작성할 때 FAP가 제대로 지켜졌는지 피드백을 작성한다. (4번에 해당) - 참고: 5Fs, 뒤돌아보다 1. Facts (사실, 객관) - 포폴 주간(그전에 레벨테스트 먼저..!) 전의 프론트엔드, 백엔드 풀스택 강의의 마지막 주간 학습을 마쳤다. 2. Feelings (느낌, 주관) & Findings (배운 점) 🥹 15시간 풀강.. 녹록지 않다 녹록지 않아.. 내가 강의하는 것도 아니고, 강의 들으면서 따라 치..
-
11/27 TIL | Mockito의 any(), eq()📝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1. 27. 18:54
import static org.mockito.ArgumentMatchers.any; import static org.mockito.ArgumentMatchers.eq; 📂 services > TransactionServiceTest.java @Test void list() { AccountNumber accountNumber = new AccountNumber("1234"); Transaction transaction = mock(Transaction.class); given(transactionRepository.findAllBySenderOrReceiver( accountNumber, accountNumber, any())) .willReturn(List.of(transaction)); List t..
-
11/25 TIL | MSW? 그게 뭔데.. 그거 어떻게 하는 건데..📝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1. 25. 14:58
이번 주 풀스택 강의에서는 정말 풀스택 프로젝트를 위한 모든 개념들이 다루어진다. 오늘 정리할 개념은 그중 MSW! 우선 그러기 전에 프론트엔드 작업에서 API 모킹을 하는 법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번 강의 기준으로 아샬님은 총 3번 ApiService를 모킹하신다. 그렇다면 차례대로 정리해보자. 📂 src > services > ApiService.js import axios from 'axios'; const baseUrl = 'http://localhost:8000'; export default class ApiService { async postSession({ accountNumber, password }) { const url = `${baseUrl}/session`; const { ..
-
11/24 TIL | 매일 쓰는 어노테이션 @SpringBootTest, @ActiveProfiles, @Autowired📝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1. 24. 11:25
그동안 Spring Boot로 개발하면서 매일 썼던 @SpringBootTest, @ActiveProfiles, @Autowired 어노테이션. 막상 정확하게 어떠한 기능들을 하는지에 대해서 떠올리니 명쾌하게 정리되지 않았다. 오늘 한번 쌈박하게 정리하고 가자! @SpringBootTest 통합 테스트를 위해서 붙이는 어노테이션이다(단위 테스트는 @WebMvcTest 등을 사용). 통합 테스트란, 실제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클래스들을 통합하여 테스트하는 것을 말한다. 단위 테스트와 같이 기능 검증을 위한 것이 아니라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전체적인 플로우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다. 장점이자 단점은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모든 Bean을 모두 로드하기 때문에 운영환경과 가장 유사한 테스트가 가..
-
11/23 TIL | 테스트 고치기!📝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1. 23. 10:10
이번 강의에서 처음 작성했던 테스트들을 통과시키기 위해 테스트를 고치셨다. 테스트를 통과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테스트 자체를 고치는 것도 필요하다. 근데 '테스트를 통과 못하니까 테스트를 고쳐야지'라는 말은 사실 논리적으로 맞지가 않는다.. 마치 시험을 보는데 시험 문제를 틀리니까 시험 문제를 교체해버리는 격인데, 그렇다면 왜 테스트를 고쳐야 할까? 테스트를 고치는 일에는 어떤 가치가 존재하는 걸까? 테스트를 고치게 되는 것에는 두 가지 가치가 존재하는데, 첫째는 Regression Test(회귀 테스트), 둘째는 Specification by Example(예제를 통한 명세)이다. 1. Regression Test(회귀 테스트) Regression Test를 한국어로는 회귀 테스트라고 하는데, 이 회귀..
-
11/22 TIL | N-tier와 Layered Architecture. 그리고 TIL 작성방식🧭📝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1. 22. 13:21
11/21 TIL | 나의 자그마한(?) 딜레마(feat. 창작의 고통) 날이 가면 갈수록 TIL 작성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있다. 일단 내가 정리하면서 파보고 싶은 소재를 하나 정하는 데에도 시간이 걸리고, 소재가 결정된 뒤 해당 내용을 공부하고, 그 내용을 기 bohyunkang.tistory.com 우선 어제 TIL로, TIL 작성에 대한 고민을 늘어놓았었는데, 홀맨님이 이렇게 코멘트를 달아주셨다. 그렇다.. TIL은 결국 오늘 내가 무엇을 배웠는지에 대해서만 말하면 되는 건데, 나는 무슨 소논문 급으로 정리를 해버리려고 하니 어디서부터 풀어내야 할지 확 힘들었던 것...^^;; 우선 완벽하게 개념을 독파하여 양질의 블로그를 작성하겠다는 완벽주의의 마인드는 잠시 내려두고, 오늘 무엇을 배웠는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