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록
-
TWIL #7 | 풀스택 정권찌르기 1주차.📝 기록/매주의 기록 2022. 10. 9. 23:15
📝 TWIL(This Week I Learned) 작성 가이드 1) 이번 주 한 일, 느낀 점, 배운 점을 작성한다. (3Fs, 1~2번에 해당) 2) 앞으로 개선할 점 등 어떻게 하겠다는 실천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Future Action Plan, 3번에 해당) 3) 다음 TIL을 작성할 때 FAP가 제대로 지켜졌는지 피드백을 작성한다. (4번에 해당) - 참고: 5Fs, 뒤돌아보다 이번 주 정권이 제대로 찔러졌는지 한번 확인해봅시다..🤛 1. Facts (사실, 객관) - Java 웹 서버를 활용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였다. - HTTP 통신에 대해서 공부하였다. 2. Feelings (느낌, 주관) & Findings (배운 점) 1) HTTP 통신을 이제야 좀 알 거 같다. + 열심히..
-
10/8 TIL | 밀린 과제 처리! 그리고 useSyncExternalStore(feat. FEConf 2022)📝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0. 8. 22:15
오늘은 8주차 주말 학습의 첫날!이지만..ㅎㅎ 7주차 퀘스트 과제를 마무리하지 못해 과제를 하였다.😅 밀린 과제는 바로 로그인/회원가입 기능 구현인데, HTTPServer로 웹 서버를 띄우고 입력 값들을 받아 로그인/회원가입 유효성 검사를 해서 로그인 성공/실패, 회원가입 성공/실패를 보여주면 되는 거였다. 7주차 마카오 뱅크 강의에서 크게 달라질 부분 없지만 유효성 검사가 끼어드니 역시나 또 옴짝달싹 못하고 멍 때리다가 코딩 도장 테스트 코드 짤 때처럼 쪼개서 가자는 생각에 쪼개서 작업하였다. 이렇게 쪼개서 작업을 하니 확실히 이해가 가지 않았었던 이번 주차 강의 흐름을 이제야 조금 알 거 같다. 물론 여유롭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닌지라 막히면 조금만 고민해보고 그래도 안 되면 바로 동기들의 ..
-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Basic』을 읽고. HTTP 도장 깨기!📝 기록/독서 기록 2022. 10. 7. 23:26
이번 주의 1주 1개발서적 프로젝트!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Basic』 - 우에노 센 저. 책 제목처럼 그림으로 표현된 HTTP 상세 내용들을 같이 보면서 글로만 읽을 때와는 다르게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홀맨님의 특별 쪽지시험 덕분에 핵심 개념들만 쏙쏙 뽑아 가져 갈 수 있었고, 이렇게 개념 노트로 정리해서 앞으로는 이 노트만 보면 될 수 있게끔 정리해보았다! 이 노션은 두고두고 복기하는 거로! 이 책은 HTTP 개념을 공부하기에는 좋으나 번역 퀄리티 면에서는 아쉬웠던 점이 좀 많았다. 개인적으로 목차 카테고라이징이 잘못된 부분도 있었고..(1.2.3의 "진보 안하는 HTTP"라는 표현은 보자마자 솔직히 뭔 소린가 싶었다) 그리고 일본어를 그대로 번역해오면서 사용된 ..
-
10/7 TIL | 투두리스트 완성. 밤샘 후폭풍에 시달린 하루😴📝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0. 7. 22:41
이번 주 퀘스트 과제 중 하나인 Java 웹 서버를 띄워 투두리스트를 만들었다. 코딩 도장을 다니면서 과제 때문에 밤을 새보려고 도전한 적은 많았으나 매번 3시 반쯤 되면 귀신같이 졸음이 몰려와 결국 2시간이라도 잠을 청했었다. 그런데 어제는 구현이 안되니까 막 열불이 나고 화가 나는 거다. 그래서인지 잠도 안 오고 또릿또릿한 정신으로 투두리스트를 완성했다. 그렇게 해서 완성된 화면은 바로 위와 같다. 밤도 새웠겠다! 그냥 아침 일찍 첫차를 타고 도장에 출석하였고, 오늘 날씨가 유독 좋아 도착하자마자 옥상 정원으로 올라갔다. 덕분에 내가 살면서 봤던 하늘 중 TOP3에 꼽힐 만한 아름다운 하늘을 보았다!! 가족 톡방에 찍은 사진 공유했는데 엄마가 뜬금포로 살 빠지는 거 아니냐는 답장이 와서 순간 옥상 걸..
-
10/6 TIL | HTTP 오답노트📝 : CGI, XML, JSON 그리고 생각이 많은 밤📝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0. 6. 23:21
월요일에 이어 다시 돌아온 HTTP 오답노트! 어제, 그제는 정해진 분량을 읽지 못해 쪽지 시험 오답노트가 그냥 거의 개념노트 수준이었고.. 오늘 분량은 열심히 읽어서 한 두 문제 빼고는 다 적었다! 👍🏻 그래서 오늘 TIL은 못 적었거나 애매하게 기억났던 문제를 오답노트로 적어보려고 한다! 10. CGI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 단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향에 대해 설명하시오. CGI란 Common Gateway Interface의 줄임말로,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에서 받은 리퀘스트를 프로그램에 전달하기 위한 구조를 말한다. CGI에 의해 프로그램은 리퀘스트 내용에 맞게 HTML을 생성하는 등으로 동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단점은 CGI는 리퀘스트마다 프로그램을 기동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액세스가..
-
10/5 TIL | 잘게 쪼개서 나아가기.📝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0. 5. 23:55
오늘 코딩 도장 문제는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였는데, 문제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문제 설명 새로 생긴 놀이기구는 인기가 매우 많아 줄이 끊이질 않습니다. 이 놀이기구의 원래 이용료는 price원인데, 놀이기구를 N 번 째 이용한다면 원래 이용료의 N배를 받기로 하였습니다. 즉, 처음 이용료가 100이었다면 2번째에는 200, 3번째에는 300으로 요금이 인상됩니다. 놀이기구를 count번 타게 되면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금액에서 얼마가 모자라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단, 금액이 부족하지 않으면 0을 return 하세요. 제한 사항 - 놀이기구의 이용료 price : 1 ≤ price ≤ 2,500, price는 자연수 - 처음 가지고 있던 금액 money : 1 ..
-
10/4 TIL | 러닝메이트가 있다는 건 참 좋은 거야..🥹 (feat. 옆자리 쥬쥬)📝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0. 4. 21:42
우리 동기들이랑 항상 하는 말 중에 하나가 "이걸 만약에 혼자서 해야 했다면 절대 하지 못했을 것"이다. 오늘도 짝 프로그래밍을 하다가 중간중간 막히는 부분이 많았는데(혼란스러웠던 부분도 많았고😂) 함께 하니까 금방 해결할 수 있었다.(이게 바로 함께 자라기의 힘..!?) 더군다나 예전부터 애~매하게만 알고 있던 rebase 개념을 옆자리 깃 마스터 쥬쥬님이 알려줬고 덕분에 오늘 좋은 개념을 알아갈 수 있었다. 두고두고 기억하려고 오늘 시간 내어 포스팅도 작성해보았다.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Git] 특정 브랜치 커밋 가져와 하나로 합치고 이름 바꾸는 방법! (cherry-pick & rebase) [Git] 특정 브랜치 커밋 가져와 하나로 합치고 이름 바꾸는 방법! 작업을 하면서 기능이..
-
10/3 TIL | HTTP 오답노트📝 : Stateless 프로토콜 장단점, 메시지 바디와 엔티티 바디의 차이📝 기록/매일의 기록 2022. 10. 3. 21:08
7주차 주중 학습 힘차게 시작 ^__^! 미리 읽어간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Basic』 쪽지시험을 봤는데, 생각보다 선방해서 나름 뿌듯했던 하루..! (나는 내가 한 줄도 못 쓸 줄 알았다..^^) 그래서 오늘의 TIL은 오답노트로다가 한번 적어보려고 한다. 물론.. 모든 오답을 다 적을 거는 아니고, 7번과 10번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7. HTTP는 stateless 프로토콜이다. stateless 프로토콜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하시오. HTTP는 stateless, 즉 무상태 프로토콜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에 교환했었던 리퀘스트와 리스폰스의 상태를 관리하지 않는다. 이때 장점은 상태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의 CPU나 메모리 같은 리소스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