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9 TIL | 쉼표 작업 일지 #8. 드디어 개발 시작!
🔙 이전 시리즈
12/17 TIL | 쉼표 작업 일지 #7. E2E 테스트 작성하기.
🔙 이전 시리즈 12/16 TIL | 쉼표 작업 일지 #6. F/E URL 설계. '리소스'를 생각할 것! 🔙 이전 시리즈 12/15 TIL | 쉼표 작업 일지 #5. 사용자 스토리 작성. 🔙 이전 시리즈 12/14 TIL | 쉼표 작업 일지 #4. 내
bohyunkang.tistory.com
오늘 작업 목표 달성률(80%)
✅ 1주차 작업 회고 작성
✅ 프론트/백 레포지토리 생성
✅ 프로젝트 칸반 보드 작성
✅ 백로그 리스트업
🟩 React, Spring Boot 프로젝트 초기화
작업 회고
기획의 1주일이 끝나고 개발에 돌입할 수 있게 된 2주차의 첫날이다. 이제는 스프린트를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일주일 단위로 가져가게 되어 주간 회고도 이제는 월요일에 업로드한다. 그렇게 오늘 TODO 중 하나인 주간 회고는 오후 홀맨님과의 위클리 스크럼 후에 작성해서 업로드하였다.
TWIL #17 | 쉼표 1주차 작업 회고. 기획에 탈탈 털렸지만 Figma를 얻었다.
📝 TWIL(This Week I Learned) 작성 가이드 1) 이번 주 한 일, 느낀 점, 배운 점을 작성한다. (3Fs, 1~2번에 해당) 2) 앞으로 개선할 점 등 어떻게 하겠다는 실천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Future Action Plan,
bohyunkang.tistory.com
그리고 나서는 쉼표 프로젝트의 프론트엔드, 백엔드 레포지토리를 생성하였다. 거국적인 첫 시작!
그리고 JIRA를 사용해서 티켓 발행이나 CI/CD 등을 구축하면 좋겠지만, 혼자서 운영하는 프로젝트이기에 그거까지는 너무 오버 스펙인 거 같아 Github Project 기능을 활용하기로 하였다.
그렇게 Projects를 생성하고, 백로그도 모두 리스트업하였다. 칸반 보드의 이슈들을 작업 현황에 맞춰 이동시켜 현재 작업량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 Backlog: 개발해야 할 기능 목록
- Todo: 당장 개발해야 할 작업 목록
- In Progress: 현재 진행 중인 작업 목록
- On Hold: 작업은 하였으나 보류 중인 작업 목록
- Done: 완료한 작업 목록
막상 이렇게 작업을 세팅할 생각이 드니 긴장되면서도 설레는 마음이다. 작업하는 과정에서 배우는 모든 것들을 잘 정리하고 공부해보자. 그럼 이제 프로젝트 초기화하러 가자!🏃♀️